태그 보관물: 램지

램지수에 관한 Burr와 Erdős의 추측

2015년 봄에 KAIST 수리과학과 졸업생인 MIT의 이중범 박사가 램지이론에 관한 Burr와 Erdős의 1973년 추측을 해결한 논문을 인터넷에 공개하여 놀라게 했었습니다. 이중범 박사는 9월에 KAIST 수리과학과 콜로퀴엄에서 그 결과를 알기쉽게 강연해주었는데요, 그 내용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데이비드 콘론 교수를 소개한 글에서도 램지 이론이 조금 소개되었습니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 6명이 있으면 그 중 어떤 3명은 서로 아는 사이거나, 어떤 3명은 서로 모르는 사이라는 결과가 있지요. 이 상황을 그래프 언어로 표현하면 꼭지점 6개짜리 완전그래프 $K_6$의 각 선을 빨강이나 파랑으로 색칠하면 항상 빨강색 $K_3$가 부분그래프로 있거나 파랑색 $K_3$가 부분그래프로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제 어떤 (작은) 그래프 $H$에 대해 $r(H)$를 $K_n$의 각 선을 빨강이나 파랑으로 칠하면 반드시 빨강색 $H$가 $K_n$의 부분그래프이거나 파랑색 $H$가 $K_n$의 부분그래프로 있을 $n$의 최소값이라고 합시다. 즉, 앞의 이야기에 의하면 $r(K_3)\le 6$이라는 뜻이죠. 실제로도 $r(K_3)=6$입니다.

$H$가 $K_3$처럼 완전그래프인 경우에는 그 값의 증가율을 구하는게 콘론 교수 소개글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아주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그럼 $H$에 선이 많이 없는 경우는 어떨까요.

어떤 경우를 선이 많이 없는 경우라고 할까요? $H$의 각 꼭지점에 연결된 선의 수가 몇 개 이하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겠지요. 조금 더 확장해서 아래와 같은 개념을 생각해봅시다. $H$의 꼭지점의 수가 $h$개일 때 각 꼭지점에 번호를 1부터 $h$까지 잘 붙였더니, 각각의 꼭지점에서 그것보다 번호가 작은 쪽으로 이어진 선의 수가 $d$개 이하라면 그 그래프 $H$를 $d$-degenerate이라고 합니다. 즉, 사람들을 줄을 세워서 자기보다 앞에 서있는 사람들 중에 자기가 아는 사람이 항상 $d$명 이하가 되게 할 수 있으면 그 사람들로 만든 그래프는 $d$-degenerate인 것이지요. 자기보다 뒤에 서있는 사람 중에 아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는 그 사람은 신경쓰지 않아도 되니까 중간에 서있는 사람이 아는 사람수는 $d$보다 훨씬 많을 수도 있습니다.

1973년 Burr와 Erdős는 $H$가 꼭지점이 $n$개이면서 $d$-degenerate인 경우는 램지수$r(H)$의 증가율이 낮지 않겠냐 생각해서 \[ r(H)\le f(d) n\]가 되게 하는 $d$에 관한 함수 $f$가 있지 않겠냐 추측을 했습니다. 이걸 Erdős-Burr 추측이라고 합니다. 이 추측에서는 과연 $n^2$이나 $2^n$이 아닌 $n$으로 $r(H)$ 값을 잡을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요.

그간 많은 수학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해보려고 시도를 했습니다.  $d$-degenerate이 아니라 $H$의 각 꼭지점에 연결된 선이 $d$개 이하인 더 쉬운 경우로 만들어서는 1983년에 이미 증명이 되었습니다. $d$-degenerate인 경우에 대해서는 2004년 논문에서 일리노이대학의 Kostochka 교수에머리 대학의 Rödl 교수가 \[r(H)\le f(d)n^2\]이라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 후 Kostochka 교수와 이중범 박사의 박사지도교수였던 ETH의 Benny Sudakov 교수가 \[ r(H)\le f(d) \cdot n \cdot n^{\frac{1}{(\log n)^{1/(2d+1)}}} \]이라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나중에 Sudakov 교수가 당시 지도대학원생이고  현재 스탠포드대학에 있는 Fox 교수와 2009년에 \[ r(H)\le f(d) \cdot n\cdot n^{\frac{1}{\sqrt{\log n}}}\]까지 증명한 결과를 발표하여 앞의 결과를 개선했었습니다.

2015 봄 이중범 박사는 적당한 상수 $c$에 대해 \[ r(H)\le 2^{d2^{c(d+1)}} n\]이 성립한다고 증명을 써서 arXiv에 공개하였습니다. 즉, $f(d)=2^{d2^{c(d+1)}}$으로 잡으면 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서 Burr와 Erdős의 추측을 해결한 것이지요. 축하합니다.

2015년 9월 KIAS 조합론 워크샵에서 강연중인 이중범 박사
2015년 9월 11일 양평에서 열린 KIAS 조합론 워크샵에서 강연중인 이중범 박사

옥스포드대학 데이비드 콘론 교수

편집자주: 서울에서 열릴 2014 세계수학자대회(ICM)를 기념하여, 조합수학 분야의 기조강연자 및 초청강연자들을 소개하는 글을 준비하였습니다. 이번 글은 2014년 8월 15일 오후 3시에 강연할 옥스포드 대학 데이비드 콘론(David Conlon) 교수에 대해, 그의 첫 박사과정 지도학생인 이준경 학생이 소개하는 글을 싣습니다.

David Conlon
David Conlon

1982년 태어난 콘론 교수는 아일랜드 출신으로, 필즈 메달 수상자인 Timothy Gowers 교수의 지도를 받고 캠브리지 대학에서 박사를  받았습니다. 콘론 교수의 전문 분야는 극단 조합론(extremal combinatorics)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램지 이론입니다.

램지 이론

‘램지 이론’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면서 실제로도 제일 중요한 것이 학부 이산수학 과목에서도 접할 수 있는 ‘램지 수’ 라 할 수 있습니다. $N$명의 사람들이 있으면 항상 서로 친구관계인 $k$명이 있거나 서로 친구관계가 아닌 $t$명의 사람이 있을 최소의 $N$ 값을 램지 수 $R(k,t)$라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6명의 사람이 있으면, 이 중에서는 항상 서로 모두 페이스북 친구인 3명이 있거나 서로 모두 친구가 아닌 3명이 있게 되지만, 5명의 경우 이런 사실이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R(3,3)=6$인 것이죠. 이러한 수가 항상 존재한다는 정리가 바로 램지 정리입니다.

아직도 $R(6,6)$의 정확한 값도 모를 정도로 램지 수를 완전하게 계산해 내는 데에는 한계가 많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R(3,t), R(4,t),\cdots$와 같이 두 변수 중 하나의 값을 고정시키거나, $R(k,k)$와 같이 $k=t$인 경우에 주목해 왔습니다. 특히 $\lim_{k\rightarrow\infty}R(k,k)^{1/k}$이 존재하는가 라는 문제는 20세기의 전설적인 수학자 에르되시(Erdős)가 100달러를 상금으로 걸어놓은 조합론의 가장 중요한 미해결 난제 중 하나입니다.

현재까지 전자의 $R(3,t)$ 케이스가 현재 상계와 하계가 4배밖에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연구가 진척된 반면(여기에 대해서는 다음에 더 자세히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후자, 즉 대각 램지 수(diagonal Ramsey Number)라 불리는 $R(t,t)$의 경우 연구 결과가 많지 않았습니다. 에르되시(Erdős)와 세케레시(Szekeres)가 1935년 처음으로 $R(k,k)\leq \binom{2k-2}{k-1}$임을 보였고, 그 뒤 반세기가 더 지난 87년에서야 이번 2014년 ICM 기조강연자이기도 한 Vojtěch Rödl 교수가 $$\lim_{k\rightarrow\infty}\frac{R(k,k)}{\binom{2k-2}{k-1}}=0$$임을 보였습니다 (이 결과들은 사실 $R(k,t)$의 경우에 대해서도 일반화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같은 해 Thomason 교수가 이 상계를 개선해서 어떤 양의 상수 $A$에 대해 $$R(k,k)\leq k^{-1/2+A/\sqrt{\log k}}\binom{2k-2}{k-1}$$임을 증명했습니다. 그리고 다시 20여년이 지나서야 콘론 교수가 $$R(k,k)\leq k^{-C\frac{\log k}{\log\log k}}\binom{2k-2}{k-1}$$라는 결과를 얻었고, 지금까지 이 상계가 최선의 결과입니다. 이 결과는 처음으로 아무리 큰 상수 $A$를 가지고 와도 점근적으로 $R(k,k)<k^{-A}\binom{2k-2}{k-1}$임을 보인 것으로, 수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라 할 수 있는 Annals of Mathematics에 실렸습니다. (논문링크) 참고로 하계의 경우 Spencer의 1975년 결과가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고, 상계와 그 간극이 작지 않습니다.

옮김 정리

콘론 교수의 최근 연구 중 주목받는 것은 Gowers 교수와 함께 한 옮김 정리(Transference Principle)에 관한 연구입니다. 이 결과는 ‘소수 안에는 모든 (유한한) 길이의 등차수열이 있다’는 그린-타오 정리의 그래프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린-타오 정리의 핵심이 되는 부분은 ‘자연수 안에서 양의 밀도를 갖는 수열 안에는 모든 유한한 길이의 등차수열이 있다’는 Szemerédi의 정리의 가정을 소수로 ‘옮겨(transfer)’ 오는 것인데, 그린-타오 정리가 처음 증명된 이후 Gowers, 그리고 Reingold-Trevisan-Tulsiani-Vadhan 그룹 등에 의해 이 부분의 더 단순한 증명을 찾는 연구가 계속되었습니다. Conlon 교수와  Gowers 교수는 이 옮김 정리의 그래프 이론 버전을 개발해서 랜덤 그래프 이론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비슷한 결과가 Schacht에 의해서도 독립적으로 증명되었고, 후속 연구를 했던 Samotij까지 네 명의 연구자가 모두 함께 또 하나의 논문을 내기도 했습니다. 이 증명은 함수해석학의 한-바나흐 정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놀랍기도 하거니와, 해석학이 조합론에 얼마나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하나의 예가 되었습니다.

또한 콘론 교수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 Fox, Zhao 와 함께 그린-타오 정리의 증명을 간단히 하는 연구를 계속 진행했고, 그 결과 원래 60페이지가 넘던 증명을 25페이지까지 줄이기도 했습니다.

콘론 교수는 앞으로도 여러 가지 램지 이론, 조합적 정수론, 랜덤 그래프 이론을 연결시키는 극단 조합론의 여러가지 문제들을 연구할 계획입니다. 콘론 교수가 이번 ICM에서 어떤 내용의 발표를 할지는 http://people.maths.ox.ac.uk/~conlond/ICMPaper.pdf 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잘 정리함과 동시에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도 제시하는 좋은 논문입니다. 관련 분야에 전문적인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